728x90
안녕하세요! 개발감자입니다.
디버깅 과정에서 사용하는 주요 명령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.
목차
1. Step Over (스텝 - 오버)
2. Step Into (스텝 - 인투)
3. Step Out (스텝 - 아웃)
4. Next (넥스트)
1. Step Over (스텝 - 오버)
현재 줄의 코드를 실행하고 다음 줄로 넘어갑니다.
만약 현재 줄에 함수 호출이 포함되어 있으면, 그 함수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함수 호출을 완료한 다음 줄로 이동합니다.
- 사용상황
: 함수 내부의 자세한 동작을 볼 필요 없는 경우, 함수 호출 이후의 코드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사용합니다.
- 예제
def add(a, b):
return a + b
result = add(5, 3) # 스텝 오버를 사용하면 add 함수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이 줄이 실행된 후 다음 줄로 이동합니다.
print(result) # << 여기로 이동힙니다!
2. Step Into (스텝 - 인투)
현재 줄의 코드를 실행하고, 만약 그 줄에 함수 호출이 있다면 함수의 내부로 들어가 첫 번째 줄부터 실행을 시작합니다.
- 사용상황
: 함수 내부의 자세한 동작을 확인하고, 함수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보고 싶은 경우 사용합니다.
- 예제
def add(a, b):
return a + b # << 여기로 이동합니다 !
result = add(5, 3) # 스텝 인투를 사용하면 add 함수 내부로 들어가 첫 번째 줄부터 실행을 시작합니다.
print(result)
3. Step Out (스텝 - 아웃)
현재 함수의 실행을 완료하고, 함수 호출이 끝난 다음 줄로 이동합니다. 현재 함수의 나머지 부분을 모두 실행한 후 함수 호출 이후의 코드로 돌아갑니다.
- 사용상황
: 함수 내부의 디버깅을 마치고, 함수 호출 이후의 코드로 돌아가고 싶은 경우 사용합니다.
- 예제
def add(a, b):
sum = a + b # 여기서 스텝 아웃을 사용하면 이 함수의 나머지를 실행하고 함수 호출 이후의 줄로 이동합니다.
return sum
result = add(5, 3)
print(result) # << 여기로 !
4. Next ( 넥스트 )
보통 Step Over와 유사한 동작을 실행합니다. 현재 줄의 코드를 실행하고 다음 줄로 이동합니다. 디버거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- 사용상황
: 일반적으로 다음 명령으로 이동할 때 사용합니다.
- 예제
def add(a, b):
return a + b
result = add(5, 3) # 넥스트를 사용하면 이 줄을 실행하고 다음 줄로 이동합니다.
print(result) # << 여기로 이동합니다!
5. 요약
명령어 | 내용 |
1. Step Over | 현재 줄의 코드 실행 후 다음 줄로 이동 (함수 내부로 들어가지 않음). |
2. Step Into | 현재 줄의 코드 실행 후 함수가 있으면 그 함수 내부로 들어감. |
3. Step Out | 현재 함수의 나머지를 모두 실행하고 함수 호출 이후의 줄로 이동. |
4. Next | Step Over와 유사하게 현재 줄을 실행하고 다음 줄로 이동. |
상황마다 알맞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면 더 효율적인 디버깅이 가능해질 것 같습니다.
그럼 지금까지 개발감자였습니다. 감사합니다 :)
728x90
반응형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프트웨어 테스트 정리 (단위, 통합, 시스템, 인수 테스트) 🍀 (0) | 2024.07.24 |
---|---|
[CS / 데이터베이스] 4.6 조인의 원리 (0) | 2024.06.04 |
[CS / 데이터베이스] 4.5 조인의 종류 (0) | 2024.06.03 |
[CS / 데이터베이스] 4.4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(0) | 2024.06.01 |
[CS / 데이터베이스] 4.3 트랜잭션과 무결성 (0) | 2024.05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