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CS

[CS / 데이터베이스] 4.2 ERD와 정규화 과정

by 개발하는 감자입니다 2024. 5. 30.
728x90

 

 

안녕하세요! 개발감자입니다.

오늘은 CS의 운영체제 중에서도 4.2 ERD와 정규화 과정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.


4.2 ERD와 정규화 과정

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 :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가장 기초적인 뼈대 역할, 릴레이션 간의 관계들을 정의함.

4.2.1 ERD의 중요성

시스템의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작성되고 이 ERD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.

관계형 구조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에는 유용하지만 비정형 데이터는 충분히 표현할 수 없음

(비정형 데이터 : 비구조화 데이터, 미리 정의된 데이터 모델이 없거나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정리되지 않은 정보)

4.2.2 정규화 과정

릴레이션 간의 잘못된 종속 관계로 인해 데이버 베이스 이상 현상이 일어남

→ 이를 해결하거나 저장 공간을 효율적을 사용하기 위해 릴레이션을 여러 개로 분리하는 과정

(데이터 베이스 이상 현상 : 회원이 한 개의 등급을 가져야 하는데 세 개의 등급을 갖거나 삭제할 때에 필요한 데이터가 같이 삭제됨)

 

정규형 원칙

  • 같은 의미를 표현하는 릴레이션이지만 좀 더 좋은 구조
  • 자료의 중복성 감소
  • 독립적인 관계는 별개의 릴레이션으로 표현
  • 각각의 릴레이션은 독립적인 표현이 가능해야 함

1. 제 1정규형

  • 릴레이션의 모든 도메인이 더 이상 분해될 수 없는 원자값만으로 구성되어 함.
  • 성적 여러개가 한 번에 입력되어 있으면 안됨.

2. 제 2정규형

  • 릴레이션이 제 1정규형이며, 부분 함수의 종속성을 제거한 형태
  •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 키에 완전 함수 종속적인 것.

3. 제 3정규형

  • 제 2정규형이고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이행적 함수 종속을 만족하지 않는 상태
  • 이행적 함수 종속 (a→b 와 b→c 이면 a→c가 성립함)

4. 보이스/코드 정규형 (BCNF)

  • 제 3정규형이고,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함수 종속 관계를 제거 → 릴레이션의 함수 종속 관계에서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인 상태

 

 

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| 주홍철 - 교보문고

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| 디자인 패턴, 네트워크, 운영체제, 데이터베이스, 자료 구조, 개발자 면접과 포트폴리오까지! CS 전공지식 습득과 면접 대비, 이 책 한 권이면 충분하다! 개발자 면

product.kyobobook.co.kr

 

이 포스팅은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