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
[CS / 네트워크] 2.2 TCP/IP 4계층 모델
개발하는 감자입니다
2024. 5. 15. 23:19
728x90
안녕하세요! 개발감자입니다.
오늘은 CS의 네트워크 중에서도 2.2 TCP/IP 4계층 모델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.
2.2 TCP/IP 4계층 모델
-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
-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
- TCP/IP 4계층 혹은 OSI 7계층 모델로 설명하기도 함
2.2.1 계층 구조
- TCP/IP 계층
- OSI 7계층과 많이 비교함.
- 링크 : 데이터 링크, 물리
- 애플리케이션 : 애플리케이션, 프레젠테이션, 세션
- 애플리케이션 계층
- FTP, HTTP, SSH 등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
-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층
- 전송 계층
-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, 신뢰성, 흐름 제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될 때 중계 역할
- 대표적으로 TCP, UDP가 있음
- TCP
-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을 활용
- 패킷 사이의 순서를 보장, 연결지향 프로토콜 하용해서 연결을 해 신뢰성을 구축 → 수신 여부 확인
- 신뢰성 확보 시 3-웨이 핸드셰이크 작업 진행
- 연결 해제 시 4-웨이 핸드셰이크 과정 발생
- UDP
-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
- 순서를 보장 X, 수신 여부 확인 X → 단순히 데이터만 전송
- 인터넷 계층
- 장치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패킷을 IP 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층
- IP, ARP, ICMP 등이 있음.
- 패킷을 수신해야 할 상대의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달
- 비연결형적인 특징 : 상대방이 제대로 받았는지에 대해 보장하지 않음
- 링크 계층
-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장치 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
-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라고도 불림
- 전선, 광섬유, 무선 등이 있음
-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나누기도 함.
- 계층 간 데이터 송수신 과정
- 송신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→ 전송계층 (요청값들의 캡슐화) → 송신링크계층의 서버을 통해 수신 링크 계층의 서버와 통신 → 애플리케이션 계층 (비캡슐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 전송)
2.2.2 PDU
- PDU(Protocol Data Unit)
- 네트워크의 어떠한 계층에서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될 때 한 덩어리의 단위
- 헤더, 페이로드로 구성되어 있음
- 계층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릅니다
- 애플리케이션 계층 : 메시지
- 전송 계층 : 세그먼트(TCP), 데이터그램 (UDP)
- 인터넷 계층 : 패킷
- 링크 계층 : 프레임(데이터 링크 계층), 비트(물리 계층)
애플리케이션 게층 : 메시지 기반으로 데이터 전달
- HTTP의 헤더 → 문자열
- PDU 중 아래 계층인 비트로 송수신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효율성이 높음
- 문자열 기반으로 송수신 → 헤더에 authorization 값 등 다른 값들을 넣는 확장이 쉽기 때문
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| 주홍철 - 교보문고
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| 디자인 패턴, 네트워크, 운영체제, 데이터베이스, 자료 구조, 개발자 면접과 포트폴리오까지! CS 전공지식 습득과 면접 대비, 이 책 한 권이면 충분하다! 개발자 면
product.kyobobook.co.kr
이 포스팅은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728x90
반응형